본문 바로가기
육아

수면교육 어려서부터 시작하세요

by 베이비베이비 2023. 7. 13.
반응형

수면교육 어려서부터 시작하세요

아이가 클수록 느끼는 것 중 하나는 왜 내가 좀 더 일찍 수면교육을 하지 않았을까 하는 것.

 

아이의 수면은 부모의 삶의 질과 직결됩니다..

 

 

수면교육
수면교육

 

 

수면교육을 해야하는 이유

신생아는 하루의 절반이상 16~18시간 정도를 자기 때문에 특별하게 수면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는 못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잠투정이 많거나 잠을 안 자는 아이라면 일찍 수면교육을 시작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아이의 수면은 부모의 삶의 질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고, 부모의 몸과 정신이 건강해야 육아의 질이 상승합니다.

 

100일 전후로 수면교육을 시작해 보세요.

 

 

수면교육 방법

1. 아이를 안아서 재우지 말고, 눕혀서 잠들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칭얼거리는 정도라면 토닥여주고, 심하게 울면 안아서 진정시킨 후에 다시 눕혀줍니다.

 

2. 백색소음을 활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아이는 백색소음을 들으면서 안정감을 느낀다고 합니다. 

요즘은 백색소음기계가 따로 나오지만, 유튜브나 인터넷에서 아이가 안정을 느낄 수 있는 소리를 찾아주는 것도 좋습니다.

 

3. 잠자는 시간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세요.

쪽쪽이나 애착인형, 이불 등을 통하여 잠자는 시간을 알게 해 주세요.

주변의 사물을 보면 아이 스스로 자는 시간이라는 것을 알게 될 거예요.

 

4. 낮과 밤을 알게 해 주세요.

낮에는 빛이 들어오게 밤에는 어둡게 환경을 유지하고, 잠자는 패턴과 루틴을 잘 유지해 주세요.

 

많은 분들이 암막커튼을 사용하시는데요, 낮에는 자연광을 볼 수 있도록 해주는 게 아이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또 불규칙한 시간보다는 어느 정도는 비슷한 시간에 잘 수 있도록 해주세요.

 

 

수면교육에 실패했다면

사실 육아에 실패라는 것은 없습니다.

조금 힘들어질 뿐이죠. 힘들어도 아이를 사랑하는 부모의 마음이 변하는 것은 아니잖아요?

 

아이가 좀 더 커서 스스로 자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부모가 없으면 울면서 투정을 부리는 아이도 있을 것입니다.

 

잘 때 부모를 찾는 아이라면, 애착 형성이 잘 된 아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아이가 하는 행동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봐주세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아이들은 부보의 눈치를 보고 감정을 쉽게 알아차립니다.

울고 싶고, 화내고 싶고, 너무 힘들어도 힘을 내세요.

 

우리 부모님도 우리를 그렇게 키웠습니다.

반응형